LED 램프 켜기
필요한 키트
코드이노, LED 램프, 전선2개, 저항, 브래드보드
1. LED램프를 브래드 보드에 수직방향으로 연결합니다. LED 램프는 아래쪽에 두개의 단자가 나와 있습니다. 그 중 긴쪽이 양극, 짧은쪽이 음극의 전기가 연결됩니다.
2. 코드이노보드의 GND라고 적혀있는 포트에 전선의 한쪽 끝을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은 브래드보드에 연결된 LED램프의 (-)단자가 연결된 라인에 연결합니다.
3. 나머지 한개의 전선은 코드이노보드의 2번포트에 한쪽끝을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끝은 브래드보드와 LED의 (+)단자가 연결된 라인에 연결합니다.
4. 코드이노연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두이노 형태로 코드이노를 연결한 후 '스크래치 실행' 메뉴를 클릭하여 스크래치 화면을 불러옵니다.
5. 추가블록에 있는 아두이노 블록을 이용하여 아래오 같이 코딩을 합니다.
코딩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a 키를 눌렀을 때
2번 포트를 출력형태로 사용함
2번포트에 전기를 연결함
b 키를 눌렀을 때
2번 포트를 출력형태로 사용함
2번포트에 전기를 단절함
6. A키를 누르면 LED가 켜지고 B키를 누르면 LED가 꺼지게 됩니다.
▲ A를 눌렀을 때
▲ B를 눌렀을 때
저항 사용하기
■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힘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과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가정에서 사용되는 두꺼비집의 휴즈를 생각하면 좀더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1. LED의 양극이 연결되어 있는 브래드보드 라인에(20번LINE) 저항의 한쪽 끝을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 끝은 임의의 LINE(14번 LINE)에 연결합니다.
2. 2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14번 LINE에 연결하면 전류가 14번 라인을 통해서 20번 라인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즉 전류가 14번과 20번라인 모두에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전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만약 14번 라인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저항선이 끊어지면서 전류가 차단되게 됩니다.
3. 또한 전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저항을 연결하지 않았을 때 보다 LED의 밝기가 어둡게 켜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과전류가 흘렀을 때를 대비하여 저항을 사용해 회로를 구성합니다.
이해가 잘 안가시는 분은 세미나신청을 해주세요.